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나쁜 사마리아인들

나쁜 사마리아인들

1. 서론

장하준 교수가 쓴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세계 경제의 불평등과 부유한 국가들이 자신들의 부를 보호하기 위해 어떻게 신흥국을 억압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책이다. 저자는 주로 선진국들이 자신들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신자유주의적 경제 정책을 개발도상국에 강요하며, 정작 자신들은 보호주의와 정부 개입을 통해 성장해 온 역사를 숨긴다고 주장한다.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세계화와 자유무역이라는 이름 아래 벌어지는 불평등한 경제 질서를 신랄하게 비판하며, 개발도상국들이 선진국처럼 경제적으로 성공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한다. 이 책은 기존의 경제적 사고방식에 도전하며, 국제 경제에서의 정의와 공정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2. 본론

1. 선진국의 위선 : 보호주의의 역사

장하준은 선진국들이 지금의 부를 축적할 때 보호주의적 경제 정책을 사용했으면서, 이제는 신흥국들에게 자유무역과 개방 경제를 강요하는 이중성을 지적한다. 영국,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과거에 관세를 높이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며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개발도상국들이 그러한 정책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역사적 사실을 통해, 신흥국들이 자신들의 경제를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자유무역에 무조건 의존해서는 안되며, 정부의 적극적인 보호 정책치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즉, 선진국들이 과거에 했던 것처럼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이 오히려 발전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세계화와 자유무역의 불평등

세계화와 자유무역은 신흥국들이 세계 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저자는 그 이면에 숨겨진 불평등을 지적한다. 선진국들은 자유무역을 통해 신흥국의 시장을 개방시키고, 값싼 노동력과 자원을 착취하면서 그 이익을 독식해 왔다. 특히 다국적 기업들이 신흥국에서 저임금 노동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면서도, 정작 그 나라의 경제발전에는 큰 기여를 하지 않는 현실을 비판한다. 장하준은 신흥국들이 선진국의 경제 모델을 그대로 따르기보다는, 자신들만의 경제적 길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유무역이 항상 경제 성장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3. IMF와 세계은행의 역할 :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억압

장하준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율성을 침해하는 주범으로 꼽는다. 이들 기관은 경제 위기에 처한 개발도상국들에게 구조조정을 요구하며, 자유시장 개방과 민영화, 공공 지출 축소 등을 조건으로 강요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은 오히려 해당 국가의 경제를 악화시키고, 빈곤과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저자는 선진국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신흥국의 경제정책을 개입하며, 그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이 구조를 "나쁜 사마리아인"의 행위라고 묘사한다. 그는 개발도상국들이 IMF와 세계은행의 요구를 무조건적으로 따르기보다는, 자국의 상황에 맞는 독자적인 경제정책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4. 개발도상국의 자립을 위한 전략

장하준은 개발도상국이 경제적으로 자립하고, 선진국의 경제적 압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보호주의 정책과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선진국이 성공했던 방식처럼, 신흥국도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저자는 교육, 기술 개발, 인프라 확충과 같은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신흥국들이 선진국의 경제적 지배에서 벗어나 자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전략은 일시적인 경제 성장이 아니라,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경제 발전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3. 결론

나쁜 사마리아인들은 세계 경제의 불공정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의 요구에 휘둘리지 않고 자립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책이다. 장하준은 자유무역과 세계화가 선진국에만 유리하게 작용하는 현실을 꼬집으며, 신흥국들이 스스로의 경제적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주의적 경제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한을 제시하며, 국제 경제 질서에서의 정의와 공정성에 대해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장하준의 메시지는 단순히 경제적 차원에서 국한되지 않고, 세계화 속에서 공존하는 모든 국가가 어떻게 공정한 경제 질서를 만들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든다.